본문 바로가기
  • Gaminmint's HOME
반응형

My Opinion59

스마일마스크증후군 [smile mask syndrome] 스마일마스크증후군 출처 매일경제 | 스마일마스크증후군 얼굴은 웃고 있지만 마음은 절망감으로 우는 사람이 가지는 증후군. '숨겨진 우울증'이라고도 하는 이 증후군은 겉으로는 웃고 있지만 속은 우울증으로 심하면 자살까지 생각하게 되며, 식욕·성욕 등이 떨어지는 등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주로 업무나 가족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와 억압으로 인해 나타나며, 일종의 우울증에 속한다. 외국어 표기 smile mask syndrome(영어) 출처 시사상식사전 | 스마일마스크증후군 의학적 용어로는 가면성 우울증으로 불리며, 식욕이 감퇴되거나 매사에 재미가 없고, 의욕이 떨어지며, 피로감ㆍ불면증 같은 증세가 나타난다. 주로 인기에 대한 불안감을 가진 연예인, 고객을 많이 대하는 세일즈맨, 경쟁의 성과에 내몰린 직장인들.. 2015. 8. 18.
흔한 평점 조작.jpg 오늘(2013.12.28.) '변호인' 개봉한다고 해서 네이버에 검색했더니 평점이 엄청 낮아 의아해했었다. 그런데 다른 사람들이 오늘 오후 쯤에 개봉한다고 함. 뭔가 냄새가 났다. 그래서 당장 영화 개봉 시간을 입력하고 검색했다. 분명히 영화는 오후 5시 개봉인데 평점이 저리 바닥일리가 없었다. 역시 명불허전이라더니 일베 유저들이 벌써 조작질에 들어간 것이다. 평점 조작을 하든 말든 상관없다. 꼭 보러 갈거니까. 2015. 8. 18.
무슨 '응답하라 1989' 찍나.txt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 검색해서 보고 있다보니 소름 돋는 기사를 발견했다. 노태우 때 공안정국인가 뭔가 그거랑 이거랑 대체 뭐가 다른가 싶다. 오늘도 어이가 없어서 기사 내용과 원본 링크 복붙 하는데 이런 기사 거리가 현실이라는 게 참 씁쓸하다. 제발 대자보 썼던 학생에게 아무 일도 없었으면 좋겠다. --------------------------------------------------------------------------------------------------------------------------------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가 잔잔하지만 강한 반향을 일으키는 가운데, 첫 대자보를 쓴 고려대 경영학과 08학번 주현우씨에게 정보과 형사가 찾아온 것으로 .. 2015. 8. 18.
"안녕들 하십니까?" 최근의 일이다. '철도 민영화'와 관련하여 관련 종사자들이 파업을 하기 시작하였고 후에 이들은 '철도 민영화'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4,213명이 직위해제를 당하게 된다. 이 당시만 해도 깊은 분노의 빡침이 마음 밑바닥 아래에서 끓어올랐다. 매일 출근하고 근무하고 퇴근하고 퇴근하면 '민영화'를 인터넷창에 검색하였다. 퇴근 후의 피로가 가시지도 않은 채 나는 밤 마다 열을 내고 있었다. 하지만 현실이란게 쥐꼬리 만한 월급의 노예라. 결국 그것 밖에 하지 못했다. 어찌보면 비겁한 핑계에 불과했다. 나도 안다. 그래서 부끄러웠다. 그런 와중에 고려대생 '주현우' 씨가 대자보를 올리게 되고 이것이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 되었다. "안녕들 하십니까?" 라는 제목은 발을 달고 어느 새 날개를 달았다. 순식간에 퍼.. 2015. 8. 18.
'촘스키의 명언'과 '철도 민영화'.txt 어디서 얼핏 듣게 된 '촘스키'라는 학자의 명언. "부패한 정권은 모든 것을 민영화한다" 그 명언을 듣고 진짜 소름이 끼쳤다. 전 대통령과 현 대통령이 오버랩 되면서 찌릿찌릿했다. 그래서 그 명언을 바탕화면 메모장에다 복붙해놨다. 이런 저런 일에 치이면서 어느 정도 정치에 관심이 느슨해 질 때 쯤, 지난 11월이었나 어느 날에 충대 쪽문에서 '철도 민영화 반대 서명 운동'을 하고 있었다. 집으로 곧장 가려다가 멈칫해서 두 발짝 뒷걸음질로 반대 서명을 하고 왔다. '반대 서명 운동한다고 진짜 철도 민영화를 하지 않을까?' 반신반의. 그 자체였던 걸로 기억한다. 마음 한 편으로는 희망고문 당하는 비스무리한 그런 감정이 들었다. 그리고 나서 몇 주 가 지난 오늘. 퇴근하고 집에 들어와 인터넷을 켰다. 그런데 .. 2015. 8. 18.
반응형